Brown adipose tissue (BAT, aka Brown fat, 갈색지방)
news.joins.com/article/23977450
[건강한 가족] 저온 생활, 고강도 운동, 간헐적 단식 … 백색 지방에 갈색 입히니 뱃살↓
다만 남아도는 백색 지방을 갈색화하면서 갈색 지방과 비슷한 기능을 한다. 강남세브란스 내분비내과 김유식 교수는 "동물실험이지만 고강도 운동이 저강도 운동보다 백색 지방을 갈색 지방으
news.joins.com
- 갈색 지방(성인이 되면 10% 미만을 제외하면 사라짐)은 전신 건강을 지키는 숨은 열쇠, 남아도는 백색 지방을 갈색화하면서 갈색 지방과 비슷한 기능을 한다. 사실상 갈색 지방이 늘어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백색 지방(=음식물 통해 생긴 포도당 및 지방산이 몸의 통상적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여전히 많이 남아 복부 등 몸의 세포 곳곳에 누적된 것)을 갈색화하면
- 에너지 소비량이 늘고
- 인슐린 감수성이 개선돼 전신 건강관리에 유리한 몸이됨 즉 당뇨 등 과체중과 연관 높은 각종 질환 발병 가능성을 현저하게 떨어뜨림
백색 지방을 갈색화하는 방법
- 지나친 보온, 과잉난방 지양 - 평소 생활하는 실내 온도를 20도 정도로 낮출 것
- 추운 느낌이 드는 19도에서는 갈색화 지방이 30~40% 증가
- 따뜻한 환경에서 지내면 지방을 태워 체온을 높이는 갈색 지방의 기능이 퇴화해 비만 가능성 급등함
- 고강도 운동’
- 고강도 운동이 저강도 운동보다 백색 지방을 갈색 지방으로 바꿔주는 단백질인 PGC1의 발현을 증가
- ‘간헐적 단식’
- 공복인 상태로 6~18시간을 지내면 지방세포에 새로운 혈관을 만드는 혈관내피세포인자(VEGF)가 증가하면서 세포 내 면역반응을 유도해 백색 지방의 갈색화를 촉진
- 갈색화 효과는 공복인 채로 최소 6시간이 지난 후부터 나타나며 단식 18시간이 지나면 VEGF 수치가 처음의 3배 가까이 증가하고, 24시간 후에는 최대치인 3.3배까지 증가 (즉 24시간 미만으로 해야 함)
- 오후 7시에 식사를 마친 후 다음 날 오후 1시까지 속을 비우면 공복 18시간을 유지하고 그 와중에 갈색 지방 증가하고 신체 노폐물을 세포가 먹어 청소함
베이지색 지방을 활성화하는 방법
- 지나친 보온, 과잉난방 지양 - 평소 생활하는 실내 온도를 20도 정도로 낮출 것
- 추운 느낌이 드는 15도 이하의 온도에 신체가 노출되면 백색지방 속에 미토콘드리아가 에너지를 태워 열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런 갈색화를 하는 중간 단계인 베이지 지방이 활성화
- 낮은 온도에서 꾸준히 무리 없이 운동하는게 도움 됨 (매주 한번에 40분 이상 최소 4회 이상 유산소 운동 필수)
- 위장 건강을 감안 배려하는 가운데 매운음식 섭취
- 매운 음식 먹으면 땀이 나고 체온이 소폭 오르는 것도 이런 이유
- 매운 음식 먹으면 땀이 나고 체온이 소폭 오르는 것도 이런 이유
- 항산화물질이 많이 들어간 식품 섭취
- 콩류, 녹차, 토마토, 당근, 아보카도, 브로콜리, 피스타치오, 커피, 등
- 충분한 수면을 통해 멜라토닌 등 필요한 호르몬 분비 촉진, 저해하는 생활 스타일(ex. 스트레스, 야식, 수면부족 등) 지양
- 간헐적 단식
관련된 최신 연구개발 트랜드들
- CRISPR-CAS9 같은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 NRIP1 유전자 등을 차단시켜 베이지색 지방으로 성장을 유도하는 동물실험 성공, 단 인체 적용은 상당기간 검증이 필요
- 기존 비만 치료는 정상적인 지방의 생성도 저해하는 등 부작용이 많아 새로운 비만 치료 패러다임이 성공할 경우 차별화에 확실하게 성공할 것임
- 갈색지방이 활성화되는 환경(=미토콘드리아에서 에너지 대신 열을 내는 역할을 하는 UCP1이라는 단백질 극대화 등)을 인위적으로 조성해주는 것이 핵심임
www.hankyung.com/it/article/202009184231i
유전자 조작 통한 비만·당뇨 치료 가능성 열었다
유전자 조작 통한 비만·당뇨 치료 가능성 열었다, 백색지방을 '살 안찌는 체질' 만드는 갈색지방으로 '유전자 가위' 이용해 전환 고지방식 1개월 섭취 실험에서 세포 이식한 쥐 몸무게 덜 늘어
www.hankyung.com
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0111702455
살 빼주는 '베이지색지방' 활성화시키는 법 3
살 빼주는 '베이지색지방' 활성화시키는 법 3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체내 지방은 색깔과 구성 성분 비율에 따라 크게 세 종류로 나뉜다. '백색지방' '갈색지방' '베이지색지방'이다. 흔히 '지방'으
m.health.chosun.com
체지방의 대사과정
살이 찌고 빠지는 원리 | 우리 몸에 있는 '체지방'(피하지방)은'지방세포'(Adipocyte)에 '중성지방'(triacylglycerol or triglycerides)이 저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이 중성지방은 글리세롤(glycerol)에 3개
brunch.co.kr
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8579
당뇨병 환자의 효과적 치료로서의 스타틴/에제티미브 복합제 - 청년의사
▲ 조홍근 원장 / 연세조홍근내과 지단백질은 죽상(동맥)경화증의 제일의 원인이다. 혈중콜레스테롤이 높아지면 죽상반이 생겨 죽상경화증을 일으킨다. 콜레스테롤은 지용성이므로 수용성인
www.docdocdoc.co.kr
'J'adore 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약산업과 고분자 관련 산업에 폭넓게 쓰이는 세계 10대 화합물 중 하나인 염소(CL) (0) | 2021.02.04 |
---|---|
공조(HVAC: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시스템 (0) | 2021.02.02 |
듀럼밀(마카로니밀, Duram Wheat) 등 밀(=소맥, 小麥) & Global food security (0) | 2021.01.05 |
방혈(放血:blood-letting, Therapeutic phlebotomy)= 사혈(射血) (0) | 2020.12.02 |
ASICS's METARACER shoes & Guide-sole tech. (0) | 2020.09.30 |